라디오 협찬광고
라디오 협찬광고는 라디오 프로그램에 제작비나 자사 상품 등을 지원하고, 방송 중에 협찬사의 상호(또는 브랜드)와 협찬 내용을 DJ가 고정 멘트로 청취자에게
알려주는 형태의 광고입니다.
라디오 협찬광고는 라디오 프로그램에 제작비나 자사 상품 등을 지원하고, 방송 중에 협찬사의 상호(또는 브랜드)와 협찬 내용을 DJ가 고정 멘트로 청취자에게
알려주는 형태의 광고입니다.
연령, 성별, 취향 등에 따라 고정된 청취자 층을 형성하고 있어 방송 중 협찬사 멘트가 반복 고지되므로 기억이 용이합니다.
별도의 제작비가 필요 없고 다른 매체 비해 광고 집행 비용이 저렴합니다.
DJ, 게스트가 직접 협찬 멘트를 하여 기업명,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가 자연 스럽게 향상되고 메시지가 반복노출되어 인지도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협찬 상품이 뛰어날 경우, 당첨된 청취자가 상품 후기를 입소문이나 SNS등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하여 2차 홍보 및 재구매를 유도 할 수 있습니다.
1) 광고주 라디오협찬 집행 결정
2) 매월 20일 라디오 협찬(브랜드 및 상품) 방송국 심의
3) 심의 마감 7일 이내 심의 결과 확정 통보
4) 대행 기간 대행 계약서 작성
5) [On Air]심의통과 후 익월 1일
*방송사 심의에 따라 프로그램 협찬 광고 집행 가능 여부가 결정됩니다.
라디오 프로그램 사이에 청각 자극만으로 브랜드를 알리는 광고로 반복청취를 통한 무의식적 브랜드 인지 효과를 가져옵니다. 라디오는 성향에 따른 청취자
층이 명확하고 충성도가 높아 집중적인 타겟 마케팅 활동이 가능합니다.
출퇴근 직장인 교통 방송, 주부 대상의 사연소개 방송, 종교방송, 청소년 대상 음악 방송으로 카테고리가 구분되어 있어 타겟 오디언스를 겨냥한 프로그램에 선별적으로 광고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광고비가 TV, 신문, 잡지 매체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게 반복 노출이 가능합니다.
TV 네트워크의 커버리지가 미약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라디오 매체를 이용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차량 운전 중이나 스마트폰 인터넷라디오 이용하는 각종 옥외활동(휴가, 명절 등) 인구에 까지 광고의 도달범위를 넓힐 수 있습니다.
전국적인 노출부터 지역적인 노출까지 광고 범위의 선택이 가능하고 TV에 비하여 광고 제작물의 수정이 용이합니다.
프로그램 광고란 프로그램 속에 속해있는 광고의 의미로 구입한 프로그램이 도달하는 지역 모두에서 해당광고가 방송됩니다.
SB광고란 Station Break의 줄임 말로 각 지역 방송사 편성에 따라 광고시간과구성이 달라집니다. (일정지역의 SB광고만 구입하여 진행 가능)
광고 길이는 보통 20초로 제작하여 진행
*광고 매체비용 이외의 광고소재 제작비용은 별도